카테고리 없음

Value Investing (가치투자)

shinysuny 2021. 1. 3. 22:02

Value Investing (가치투자)

 

요즈음 일반 개미들의 주식투자가 증가하면서 기존의 주식투자방법의 문제점을 제기하며 Value investing, "가치투자"라는 단어가 자주 들린다. 

 

기존 주식그래프를 해석하며 대부분 치고 빠지는 단기적 전략적인 투자와는 다른 방식으로 표현되기도 하는 가치투자는 어떻게 표현될까? 

 


What Is Value Investing? (가치투자란 무엇인가?) 
가치투자는 내재가치나 장부가치보다 낮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 주식을 선별하는 투자 전략이다. 가치투자자들은 주식 시장이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주식을 적극적으로 찾아낸다. 

그들은 시장이 희소식에 과민반응하여 기업의 장기 펀더멘털에 부합하지 않는 주가변동을 초래한다고 믿고, 이러한 과민반응은 할인된 가격으로 주식을 매수함으로써 이익을 얻을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워렌버핏과 가치투자 
워렌버핏은 아마도 오늘날 가장 잘 알려진 가치투자자일 것이다. 벤자민 그레이엄, 데이비드 도드, 찰리멍거, 크리스토퍼 브라운, 억만장자 헤지펀드 매니저인 세스 클라만 등 많은 이들도 있다. 

 

가치투자자들은 재무분석을 이용하고, 무리를 따르지 않으며, 질 좋은 회사의 장기투자자들이다. 이러한 가치투자의 기본 개념은 간단합니다. 어떤 물건의 진가를 알면 세일할 때 돈을 많이 절약할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세일할 때 새 TV를 구입하든, 정가로 구입하든, 동일한 화면 크기와 화질의 TV를 구입하게 된다. 주식은 비슷한 방식으로 작용하는데, 이는 기업의 가치나 가치평가가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도 기업의 주가가 변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TV와 같이 주식은 수요의 증가와 감소기간을 거치며 가격변동을 일으키지만, 그렇다고해서 돈을 받고 얻는 것이 달라지지는 않는다.

 
잘 아는 쇼핑객들은 TV가 1년에 몇번 판매되기 때문에 TV의 가격을 전액 지불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주장하듯이, 투자가들은 주식도 같은 방식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믿고, 물론 TV와 달리 블랜프라이데이처럼 연중 예측 가능한 시기에 주식 매매가 지진행되지 않을 것이고, 매매가격도 광고되지 않을 것이다.

가치투자는 이런 주식에 대한 숨겨진 매물을 찾아 시장이 어떻게 가치를 매기는가에 비해 싸게 사기 위해 탐정작업을 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가치주를 장기적으로 매입하고 보유하는 대가로 투자자들은 상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다. 가치투자는 1934년 콜롬비아 경영대학원 교수 벤자민 그레이엄과 데이비드 도드의 개념에서 발전했고 1949년 그레이엄의 저서 지능형 투자자에서 대중화되었다. 

 

가치투자의 본질적 가치

주식시장에서 주가가 싸거나 할인된 것과 동등한 것은 주가가 저평가된 경우이다. 가치투자자들은 그들이 심각하게 할인된 것으로 인식하는 주식에서 이익을 얻기를 희망하며, 그 투자자들은 주식의 가치평가나 내재가치를 찾기 위해 다양한 지표를 사용한다. 

내재가치란, 기업의 재무성과, 수익, 현금흐름, 이익 등의 재무분석과 기업의 브랜드, 사업모델, 목표시장, 경쟁우위성 등 근본적인 요인을 함께 연구하는 것이 결합한 것입니다. 기업의 주식을 평가하는데 사용되는 일부지표는 다음과 같다. 


1) P/B (Price-to Book)
장부가치 또는 기업 자산의 가치를 측정하여 주가와 비교하는 가격으로, 자산 가치보다 가격이 낮으면 회사가 자금난을 겪지 않는다고 가정해 주가가 저평가된 것이 됩니다. 

2) P/E (Price-to-Earning) 
주가에 모든 실적이 반영되지 않았는지, 저평가 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한 실적을 보여주는 지표.

3) Free-Cash flow
즉 지출비용을 뺀 후 기업의 수익이나 영업에서 창출되는 현금입니다. 무상현현금흐름이란 운영비, 자본지출이라고 하는 대규모 구매를 포함하여 비용이 지급된 후에 남는 현찰로, 장비와 같은 자산을 매입하거나 제조공장을 개량하는 것입니다. 기업이 자유로운 현금흐름을 창출학하고 있다면, 기업의의 미래에 투자하고 부채를 갚고, 주주에게 배당이나 보상을 하고, 주식 매입을 발행할 돈이 남아 있을 것입니다. 

물론 부채, 자기자본, 매출, 신장율 등의 분석에서 사용되는 다른 지표도 많습니다. 이러한 지표를 검토한 후 가치투자자는 비교가치인 즉 주식의 현재 가격이 회사의 본질적 가치와 비교되는 가치가 충분히 매력적이면 주식을 매입하기로 결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