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Quantitative Easing (QE) 양적완화의 예시, 장단점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shinysuny 2021. 1. 7. 05:57

[경제상식] Quantitative Easing (QE) (양적완화)[경제상식] Quantitative Easing (QE) (양적완화) , 양적완화의 예시, 장단점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양적완화란? 

양적완화는 중앙은행이 자금 공급을 늘리고 대출과 투자를 장려하기 위해 공개시장에서 장기 증권을 사들이는 파격적인 통화정책의 일종이다. 이러한 유가증권을 사는 것은 경제에 새로운 돈을 더하고, 또한 고정수익증권을 매입함으로써 금리를 낮추는 역할을 하며,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도 크게 확대한다. 

 

단기 금리가 0에 이르거나 다가오면 금리를 목표로 하는 정상적인 오픈마켓 영업은 더 이상 효과를 보지 못한다. 대신에, 대신에, 중앙은행은 구매할 특정 금액의 자산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양적완화는 은행들에게 더 많은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새로 창출된 은행 보유고가 있는 자산을 구입함으로써 자금 공급을 증가시킨다. 

Key Takeway 
양적완화는 중앙은행들이 국내 통화공급을 빠르게 늘리고 경제활동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하는 비상통화정책의 일종이다. 그것은 보통 중앙은행이 장기 국채뿐만 아니라 주택담보대출증권과 같은 다른 종류의 자산을 구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2020년 3월 15일 코로나바이러스에 대항하는 미국경제를 후퇴시키기 위해 7,000억 달러 이상의 QE 양적완화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이는 경기침체에 대처하기 위해 하룻밤 사이에 채권매입에 1조 5천억 달러를 지원하겠다는 당초 약속에 이은 것이었다. 

 

양적완화 장점

양적완화를 실시하기 위해 중앙은행 국채 등 유가증권을 사들여 화폐의 공급으 늘리는 것은 다른 자산의 공급을 늘리는 것과 유사하다. 원가가 낮을수록 금리를 낮아지고, 은행은 더 쉬운 조건으로 대출할 수 있으며, 이 전략은 금리가 0에 가까울 때 사용되는데, 이 시점에서 중앙은행들은 경제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도구가 적다. 


양적완화 자체가 실효성을 잃을 경우 재정정책을 활용해 통화공급을 더욱 확대할 수도 있다. 사실상, 양적완화는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사이의 경계를 흐리게 할 수 있는데, 만약 매입된 자산이 반주기적 적자 지출을 위해 발행되고 있는 장기 국채들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이다. 

양적완화의 단점 
중앙은행이 통화 공급을 늘리면 물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최악의 경우 중앙은행이 경제성장 없이 양적완화를 통해 인플레이션을 일으켜 이른바 스태그플레이션의 기간이 될 수도 있다. 대부분의 중앙은행은 자국 정부에 의해 만들어지고, 일부 규제 감독에 관여하고 있지만, 중앙은행들은 은행들에게 대출을 늘리거나 대출자들에게 대출을 요청하고 투자를 하도록 강요할 수는 없다. 늘어난 화폐공급이 은행을 통과해 경제로 유입되지 않는다면, 양적완화는 적자지출을 촉진하기 위한 도구를 제외하고는 효과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또 다른 부정적인 결과는 양적완화가 국내통화를 평가절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조업자들에게 이것은 수출상품이 세계시장에서 더 싸기 때문에 성장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환율 하락으로 수입이 더 비싸져 생산비와 소비자물가 수준이 높아질 수 있다. 

그렇다면, 양적완화는 효과적일까?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BR)가 2008년 부터 실시한 양적완화 프로그램에서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통화 공급을 4조달러 늘렸다. 이는 연준의 대차대조표 자산쪽이 채권, 주택담보대출, 기타자산을 매입하면서 크게 성장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부책, 주로 미국 은행에 예치되어 있는 부채도 같은 액수만큼 증가했다. 목표는 은행들이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그러한 적립금을 빌려주고 투자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다음 도표에서 볼 수 있듯이, 은행들은 그 돈의 많은 부분을 초과 적립금으로 고수했고 절정에 달했을 때, 미국 은행들은 2조 7천억 달러의 초과 적립금을 보유했는데, 이는 연방준비제도이사회 프로그램의 예상치 못했던 결과였다. 

 

양적완화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Fed 의 양적완화 프로그램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미국 및 세계 경제를 구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믿는다. 그러나 후속 회복에서 그것의 역할의 크기는 더 논의되고 정량화 할 수 없다. 다른 중앙은행들은 경기 침체와 디플레이션에 맞서기 위해 양적완화를 구축하려고 시도했지만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양적완화의 예시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이후 일본은 경기침체에 빠졌다. 2000년부터 일본은행은 디플레이션 억제와 경기부양을 위한 적극적인 양적완화 프로그램을 시작했고, 일본 국채 매입에서 사채와 주식 매입으로 전환했다. 

양적완화 캠페인은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다. 1995년과 2007년 사이에 일본의 GDP는 명목상으로 5조4500억달러에서 4조5200억달러로 떨어지게 된다. 

최근 2020년 3월 12일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미국 금융시스템에 유동성을 제공하기 위한 긴급대책으로 최대 1조5000억달러의 자산매입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의 급속한 확산에 의해 야기된 대규모 경제 및 시장 혼란 속에서 일어났다.